반응형
말랑Cow
IT
말랑Cow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65)
    • Linux (33)
    • Windows (6)
    • Network (7)
    • Hardware (10)
    • Zabbix (13)
    • python (9)
    • script (0)
    • docker (16)
    • NAS (1)
    • DB (3)
    • php (33)
    • jQuery (1)
    • 정보보안기사 (0)
    • Ajax (1)
    • Javascript (21)
    • DELL (0)
    • HPE (0)
    • Secui (0)
    • AWS (2)
    • Elastic (0)
    • 보안 (1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JavaScript
  • Shell
  • docker
  • php 클래스
  • ZABBIX
  • 자빅스
  • Linux
  • 도커
  • 자바스크립트
  • bash
  • 모니터링
  • php
  • 리눅스
  • Python
  • 네트워크
  • 서버
  • CentOS
  • php 객체
  • 파이썬
  • jQuery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말랑Cow

IT

Linux

Linux - Smartctl

2021. 1. 28. 11:35
반응형

smartctl 이란?


- SMART(Self-Monitoring, Analysis, and Reporting Technology) 기능이 탑재된 하드디스크를 점검하는 도구
- 하드디스크 ROM 에 기록되는 형태로서 , I/O 에러 발생으로 write 가 잠겨 /var/log/messages 상에 남지 않는 I/O 에러를 검출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

1) 설치하기
# yum install smartmontools

2) 명령어 사용법
# smartctl [옵션] [장치명]

# 기본적으로 모든 정보를 확인 할 때는 -a(–all) 옵션을 많이 사용 (ex. smartctl -a /dev/sda)
# 간단한 하드디스크의 상태를 확인 할 때는 -H(–health) 옵션을 사용 (ex. smartctl -H /dev/sda)
# 간단한 하드디스크의 정보를 확인 할 때는 -i(–info) 옵션을 사용 (ex. smartctl -i /dev/sda)
# 명령어 사용 중 smart 기능이 잠겨있을 때에는 -s on(–smart=VALUE) 옵션을 사용 (ex. smartctl -s on /dev/sda)

3) 주요 속성 값
– Raw_Read_Error_Rate
디스크 표면으로 부터 데이터를 읽는 과정에 문제가 있는 경우 (정상적인 경우 0)
보통 외부에서 물리적인 충격이 가해지면 수치가 상승

– Sping_up_Time
플레터 회전에 제로 rpm 에서 최대 rpm에 도달하는 평균 시간

– Start_Stop_Count
플레터가 회전하고 정지한 횟수

– Reallocated_Sector_Ct
섹터에 문제가 생겨서 스페어영역의 대체 스페어영역으로 섹터 이동 (정상적인 경우 0)

– Seek_Error_Rate
탐색 오류율 (정상적인 경우 0)

– Power_On_Hours
하드디스크에 전원이 인가된 시간

– Spin_Retry_Count
최대 rpm에 도달하기 위해서 회전을 시도하는 횟수 (정상적인 경우 0)

– Power_Cycle_Count
전원 on/off 횟수

– Power-Off_retract_Count
헤드가 플레터(디스크)에서 벗어나는 횟수

– Load_Cycle_Count
헤드가 플레터 위로 진입한 횟수

– Temperature_Celsius
하드디스크 온도

– Reallocated_Event_Count
스페어 영역으로 대체된 섹터로 부터 데이터를 읽어간 횟수

– Hardware ecc recovered
ECC 오류검출로 인하여 복구된 횟수

– Current_Pending_Sector
불안전한 섹터로 스페어영역 섹터로 remap을 준비중이거나 읽는 과정에 문제가 생긴 섹터 (=준 배드섹터,정상적인 경우 0)

– Offline_Uncorrectable
읽기/쓰기 에 문제가 생긴 섹터, 즉 디스크 표면이 손상됨(=배드섹터, 정상적인 경우 0)

– UDMA_CRC_Error_Count
하드디스크 인터페이스를 통해 데이터 전송과정에 발생한 CRC 체크섬 오류 횟수(정상적인 경우 0)

– Multi_Zone_Error_Rate
섹터에 쓰기과정에 발생한 에러가 검출된 횟수

반응형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inux] sed 사용법  (0) 2021.03.23
scp 명령 사용 시 Host key verification failed 에러  (0) 2021.02.10
CentOS 7 - swp파일 복구  (0) 2021.01.27
CentOS 7 - 파일시스템 정보 확인  (0) 2021.01.27
CentOS 7 - LVM 구성  (0) 2021.01.27
    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Linux] sed 사용법
    • scp 명령 사용 시 Host key verification failed 에러
    • CentOS 7 - swp파일 복구
    • CentOS 7 - 파일시스템 정보 확인
    말랑Cow
    말랑Cow

    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