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말랑Cow
IT
말랑Cow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65)
    • Linux (33)
    • Windows (6)
    • Network (7)
    • Hardware (10)
    • Zabbix (13)
    • python (9)
    • script (0)
    • docker (16)
    • NAS (1)
    • DB (3)
    • php (33)
    • jQuery (1)
    • 정보보안기사 (0)
    • Ajax (1)
    • Javascript (21)
    • DELL (0)
    • HPE (0)
    • Secui (0)
    • AWS (2)
    • Elastic (0)
    • 보안 (1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jQuery
  • 도커
  • docker
  • Python
  • 자바스크립트
  • php 객체
  • php
  • ZABBIX
  • JavaScript
  • Linux
  • 모니터링
  • 자빅스
  • 리눅스
  • CentOS
  • bash
  • 파이썬
  • Shell
  • php 클래스
  • 네트워크
  • 서버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말랑Cow
Windows

BOOTMGR IS MISSING 원인 및 해결방법

BOOTMGR IS MISSING 원인 및 해결방법
Windows

BOOTMGR IS MISSING 원인 및 해결방법

2021. 4. 22. 18:04
반응형

원인


활성파티션 설정이 잘못되었거나 bootmgr 파일이 손상되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.

 

 

 

해결방법


부팅 가능한 윈도우 설치 CD나 USB를 통해 부팅한다.

이후 컴퓨터 복구 메뉴로 들어가 명령프롬프트를 연다.

 

cmd창이 열리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통해 부팅파일을 만든다.

diskpart

list disk // 디스크 확인

select disk <number> // 윈도우가 설치된 디스크 선택

list partition // 윈도우가 설치된 파티션 확인

select partition <number> // 윈도우가 설치된 파티션 선택

active // 현재 파티션 활성상태로 만듬

exit // 종료

이후 다음 명령으로 윈도우가 설치된 파티션에 부팅파일을 만든다.

 

 

bcdboot c:\windows /s c: /l ko-KR // 윈도우가 설치된 파티션이 c:\ 일 때

bcdboot d:\windows /s d: /l ko-KR // 윈도우가 설치된 파티션이 d:\ 일 때

완료 시 "부팅파일을 만들었습니다" 라는 문구가 뜨며 재부팅 시 윈도우가 부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반응형

'Windo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error] e1dexpress event id 27 - 네트워크 끊김현상  (0) 2022.02.12
Powershell 스크립트 실행하기 (PSSecurityException 에러)  (0) 2021.04.09
ssh-keygen을 통한 비밀번호 자동인증  (0) 2021.04.08
[Windows10] GOD MODE ?  (0) 2021.02.26
윈도우 10 정품인증 CMD  (0) 2021.02.10
  • 원인
  • 해결방법
'Windo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[error] e1dexpress event id 27 - 네트워크 끊김현상
  • Powershell 스크립트 실행하기 (PSSecurityException 에러)
  • ssh-keygen을 통한 비밀번호 자동인증
  • [Windows10] GOD MODE ?
말랑Cow
말랑Cow

티스토리툴바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