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

날짜 및 시간설정

말랑Cow 2020. 12. 28. 18:08
반응형

1. 시간정보확인

 

# timedatectl

 

- RTC Time : Real-Time Clock (하드웨어 시계, BIOS 시계 라고도 함)

- NTP enable : NTP 활성화 여부

- NTP synchronized : NTP로 동기화되었는지의 여부

- RTC in local TZ : RTC를 시스템시계와 동일하게 사용할 것인지 여부

- DST active : DST(썸머타임) 설정여부

 

2. 날짜 및 시간설정

 

# timedatectl set-time "2020-12-28 17:58:30" // 2020년 12월28일 오후 5시 58분 30초로 설정

# timedatectl set-time "2020-12-28" // 날짜만 설정

# timedatectl set-time "12:12:12" // 시간만 설정

 

3. 시간대(Time Zone) 변경

 

# timedatectl list-timezone | grep Asia // Asia 지역만을 걸러 지원하는 시간대 확인

# timedatectl set-timezone Asia/Seoul // Asia/Seoul 로 시간대 설정

 

4. RTC(하드웨어시계) 시간설정

 

# timedatectl set-local-rtc yes // 하드웨어 시계를 사용하게 설정

# timedatectl set-time "2020-12-28 12:12:12" // 날짜와 시간 설정

# timedatectl set-local-rtc no // 하드웨어 시계를 사용하지 않게 하는 것

 

5. 자동 시간 동기화

 

NTP를 사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타임서버에서 시간을 가져와 동기화 가능

 

# timedatectl set-ntp yes // 시간동기화 활성화

# timedatectl set-ntp no // 시간동기화 비활성화

 

6. date 명령어를 이용한 시스템 시계 설정

 

# date -s "2020-12-12 10:10:10" // 2020년 12월12일 10시10분10초로 시간설정

# date +%D -s "2020-12-29" // 2020년 12월 29일로 설정

# date +%T -s "10:10:10" // 10시 10분 10초로 설정

 

※ 하드웨어 시계

# hwclock // 현재 하드웨어 시간 확인

 

7. 시간대(Time Zone) 변경

 

/etc/localtime // 시간대에 관한 파일

 

# cp /etc/localtime /etc/localtime.bk // 현재 시간대 백업

# cp /usr/share/zoneinfo/US/Hawaii /etc/localtime //시간대에 관한 파일들이 있는 zoneinfo에서 원하는 시간파일 복사

# date // date로 확인

 

8. rdate를 이용한 시간 동기화

 

# rdate time.bora.net // Time서버에서 시간을 가져온 것

# rdate -s time.bora.net // Time서버의 시간을 시스템의 시간으로 설정

# 0 0 * * * /usr/bin/rdate -s time.bora.net // crontab에 등록

반응형